[NoSQL] 시간이 지날수록 데이터의 양은 방대해지고 있습니다.과거에는 개인이 아닌 기업들이 수집하는 데이터의 양은 어느정도 한정되어 있었고 일정한 틀에 맞춰 데이터를 저장함으로써 사용하기 편하게 만들었습니다. 그 산물이 SQL 언어를 사용한 RDBMS (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) 이죠.하지만 데이터의 양이 방대해지고 유입과 유출이 많아지면서 이러한 관리 시스템은 비효율적이라는 걸 알게 됐습니다.다양한 데이터가 발생하면서 그 틀에 맞춰 수집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던 것이죠.그래서 등장한 것이 NoSQL입니다. [그림1] 데이터 양의 증가폭. 플랫폼이 많아지면서 개인이 데이터를 생산할 수 있는 시대가 왔고 때문에 데이터의 양이 증가할 수 밖에 없다.(그림참조 http://thegioi360.vn/po..
[Database] 정보를 통합 저장해 운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합니다.Database에 있는 정보들은 사용자들이 사용(편집)할 수 있으며 추가, 삭제도 할 수 있습니다.물론 모든 유저가 Database에 있는 정보를 사용할 수 있는 건 아닙니다.권한을 부여한 뒤 접근제한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이런 특징이 Database의 가장 큰 장점이기도 합니다. 데이터베이스는 오랜 역사를 자랑합니다.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시스템과 그 시스템을 만든 기업들이 있죠.최근 NoSQL이 떠오르기 전에는 관계형 DBMS (DataBase Management System)가 주류를 이뤘습니다.먼저 RDMBS (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)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. [RDBMS, 관계형..
- 알고리즘
- 딥러닝
- 크롤러
- Express
- 머신러닝
- 크롤링
- logistic regression
- 재귀
- Crawler
- Crawling
- 백준
- LR
- Machine Learning
- neural network
- softmax
- DFS
- BFS
- query string
- Queue
- Linear Regression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